Polling다른 프로그램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검사하여 일정한 조건을 만족할 때, 데이터 처리 하는 방식을 말한다.당연히 주기가 짧을수록 요청은 많아지기 때문에 답해줄 메시지가 없는 경우에도 서버 자원이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문제가 있다.다음은 클라이언트에서 서버에 새 메시지가 있는지 5초 주기로 요청하는 client polling 예시이다.// 5초마다 서버에 요청setInterval(async () => { const response = await fetch('/api/new-messages'); const messages = await response.json();}, 5000); 클라이언트가 계속 요청을 하기 때문에 클라이언트가 많아지면 그만큼 서버의 자원도 더 필요해진다.새로운 메시지가 없더라..